개요

KAS : Korea Accreditation System, 한국공인제품인정제도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 설치되어 있는 한국제품인정기구가 인증기관에 대하여 정해진 국제기준(ISO/IEC 17065)과 IAF(국제인정기구포럼)에서 정한 지침문서, 국내법 및 관련 지침 등에 따라 평가하여 제품인증수행에 있어서 관리능력이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승인해 주는 제도이다. 이는 국내제품인증체계의 선진화를 위한 효율적 추진 및 국제적 신뢰도 구축을 위해 국가표준기본법 제21조(적합성 평가체계의 구축), 국가표준 기본법 제22조(제품인증) 및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국제기준(ISO/IEC 17011)에 의거하여 국제적으로 공인되는 제품인증업체를 인증 및 사후관리 등의 인증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V-체크마크란?

제품의 품질과 성능 향상을 통한 경쟁력 향상과 안전사고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품의 안전, 성능, 신뢰성 등에 대해 인증하는 제도로서 KAS(한국제품인정기구)가 공인한 제품인증기관의 인증마크

법적근거

한국제품인정기구(국가기술표준원)가 국가표준기본법 제21조(적합성평가체제구축)및 제22조(제품인증)에 근거하여 인정

제도의 성격

제조자가 인증 신청 여부를 선택·결정하는 자율적인 인증제도
국제표준(ISO/IEC 17065)에 의한 적합성평가 시스템을 갖춘 선진국형 인증제도
제품 구매자 및 관련 이해 관계자의 신뢰도 확보에 유리

인증마크

게시판 목록
구분 기본형 마크 마크 할용 예
표시
도안의미 ◦ 승인 또는 검사를 상징하는 V체크 표시
◦ F : 일반 수납가구 제품
◦ K : 가정용 싱크대 제품
◦ Ⅲ,V : 인증의 형식(Type 3,Type 5)
◦ KHFC : 인증기관(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품질인증센터)

대상품목

게시판 목록
인정범위 인증대상 품목 적용시스템
목재가구 제조업 및 관련분야 가정용 싱크대 Type Ⅴ
수납가구(신발장, 반침장 등) Type III

인증스킴(형식)

게시판 목록
구분 인증시스템 포함사항 인증시스템 포함사항
Type Ⅲ 이 시스템은 서류심사, 형식시험과 공장 사후관리를 포함한다. 공장사후관리의 수행이 이루어지며, 생산 시점에서의 제품, 프로세스, 혹은 서비스의 샘플에 대하여 적합여부를 평가한다. 이 시스템은 적합성 분배 경로에 대하여 영향력을 미쳤다는 어떠한 징후도 제공하지 않는다. 중대부적합이 발견될 경우, 시장에 분배되기 이전에 해당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많은 기회들이 있다. a)인증기관이 요청하는 샘플
b)시험
c)시험보고서의 평가
d)제조과정의 최초 적합성 평가
e)결정
f)인증
g)공장 사후관리
Type Ⅴ 이 시스템은 서류심사, 형식(Type)시험과 해당되는 품질시스템평가를 포함한다. 품질시스템에 대한 사후관리가 이루어지며, 제품샘플은 시장이나 생산장소 또는 두 군데 모두에서 수집할 수 있으며, 적합성여부를 평가한다. 위 3종류의 사후관리를 진행하는 강도는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시스템은 사후관리 진행에 대하여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a)인증기관이 요청하는 샘플
b)시험
c)시험보고서 평가
d)생산과정에 대한 최초의 적합성 평가
e)결정
f)인증
g)품질시스템과 생산의 공장 사후관리
h)시장 사후관리
게시판 목록
구분 사후관리 비고
Type Ⅲ ◦ 제품 심사: 년 1회 이상 *약정기간 : 3년
Type Ⅴ ◦ 공장의 품질시스템: 년 1회 이상
◦ 제품 심사: 년 1회 이상 공장 또는 시장에서 시료 채취
"

심사기준

게시판 목록
구분 기준 및 적용표준 심사항목 판정기준
공장심사 V-체크마크 심사기준 Type 3 자재의 관리, 공정 관리, 제품의 품질관리,
제조설비의 관리검사설비의 관리, 소비자 보호체계
평가 보고서 절차서
(QC-QP-16) 참조
Type 5 표준화 일반, 자재의 관리, 공정 관리,
제품의 품질관리, 제조설비의 관리, 검사설비의 관리
평가 보고서 절차서
(QC-QP-16) 참조
제품심사 KV-SPS 0438-01
KV-KS G 2020-01
제품인증표준 검사항목 인증표준 참조

인증절차

인증절차

※ 인증의 결정 등 인증운영의 총괄적인 운영사항은 제조자, 소비자, 사용자 단체 및 적합성평가 전문가, 공공기관, 인증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심의 의결합니다.